728x90
반응형

플레이스토어에서 다운 받은 딥시크 앱
딥시크로 2025 대한민국 주식시장 예상 질문

내가 가지고 있는 글로벌 Ai반도체 펀드가 있는데
명절 끝나고 볼 생각 하니 후덜덜 하네요. 엔비디아가
스타트업 딥시크로 인해 약 846조가 증발해 버렸죠.
미국증시까지 흔들 정도라 딥시크가 궁금해졌어요.

'딥시크 충격' 나스닥, 전날 3% 폭락 →2% 급반등
엔비디아 128,86달러 마감 시가총액 3조 달러 회복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로 인해 쇼크를 받은 미국 증시가 28일(현지시간) 기술주를 중심으로 반등하며 다소 진정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네요.


한국경제 기사를 보면
"뉴욕증시에서 3대 주가지수가 동반 강세를 보였는데 전날 3% 폭락했던 나스닥 종합지수는 2% 급반등 했고 중국 AI 딥시크발 충격으로 폭락했던 기술주가 저가 매수세에 힘입어 전날 하락분의 일부를 되찾았다."

딥시크란 회사가 얼마나 대단하냐면
딥시크의 AI 모델은 오픈AI 등 미 기업들의 AI 모델에 필적할 만한 성능을 갖췄으면서도 훨씬 적은 비용으로 개발됐다는 점.
이는 딥시크가 AI 모델 개발에 투입한 비용 때문인데 약 557만6000달러(약 78억8000만원)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어요.
그간 미국 기업들이 쓴 수백억∼수십조원에 크게 대비되는 것이죠.
투자자들은 딥시크의 저렴한 AI 모델 개발 방식이 확산하면 엔비디아가 그동안 비싼 최신 AI 칩을 앞세워 올렸던 막대한 매출과 순이익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고 우려했고, 고가 AI칩이 굳이 필요 없으니 직격탄을 맞은 게 증시에서 그대로 보였네요.

어제 뉴스를 보면서 이미 AI기술의 1,2위가 미국과 중국이라면 우리나라도 강국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도록 3위라도 할 수 있게 정부의 예산지원과 인력 양성에 힘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지금 한국 신뢰도가 엉망인 상황이라 🇰🇷 앞으로의 미래가 걱정되기는 처음입니다.
민생경제와 미래산업에 집중했으면 하는 바람과
기술 격차를 뛰어넘는 중국이 부럽기도 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 Recent posts